파이썬 기초 (33)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이썬 Pandas 오늘은 DataFrame 제대로 이해하기 데이터 프레임(DataFrame) 객체는 Pandas의 기본 구조체로 행과 열을 가지는 2차원 데이터 구조입니다.데이터 프레임은 열마다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1차원 데이터인 Series 객체의 집합체 또는 딕션너리(Dictionary)의 특수한 버전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DataFrame의 이해를 위해서 먼저 1 차원 데이터인 Series 2개를 생성하고 생성한 2개의 Series를 이용하여 DataFrame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첫 번째 Series(share_price)는 현재의 주가를, 두 번째 Series(outstanding_shares)는 주식 발행 수를 나타냅니다. 위에서 생성한 Series 2개를 가지고 DataFrame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 pan.. 파이썬 Pandas를 알기 위해서는 Series부터 이해하자. 파이썬 Pandas를 다루기 전에 오늘은 Pandas의 기본이 되는 Pandas Series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Pandas Series는 인덱싱된 데이터의 1 차원 배열입니다. Numpy(Numerical Python)와 다른 점은 Numpy는 명시적 인덱스 없이 묵시적으로 '0' 부터 차례로 정수형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하지만 Pandas Series는 명시적으로 정의된 인덱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명시적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기본적이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 ! ☞☞ Numpy란 무엇인가?Numpy는 Numerical Python의 약자로 대규모 다 차원 배열 뿐만 아니라 수치 계산을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이썬의 라이브러리이다. Pandas Series는 리스..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매직 명령어 이용하기 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하다 보면 파일 처리 등을 위해 파일 탐색기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 매직(Magic) 명령어를 이용하면 주피터 노트북 상에서 보다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매직 명령어 설명에 앞서 주피터 노트북에서 프롬프트(Shell)를 이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 봅시다. 명령 프롬프트(Shell) 이용하는 방법 코드 셀에서 앞에 '!'를 붙이고 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IP 구성 확인을 위해서는 코드 셀에 !ipconfig -all 입력 후 코드 셀을 실행(Ctrl + Enter)하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실행하는 것과 똑같은 결과가 노트북에서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파이썬을 하면서 import 에러가 발생하면 우리는 pip install ..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Markdown 기능 및 수식 입력 방법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Markdown 기능 및 수식 입력 방법 주피터 노트북는 파이썬 코드 뿐만 아니라 Markdown 또는 수식을 작성하고 작성된 내용은 HTLM 형식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 여기서 잠깐 ! ! ☞ 마크다운(Markdown)이란?마크다운(Markdown)은 문서 기술에 대한 서식을 정의한 것으로 일반 텍스트 기반의 경량 마크업(Markup) 언어의 한 가지입니다.다시 말해, 마크다운(Markdown) 형식에 맞추어 일반 텍스트를 작성하면 정해진 서식으로 출력이 되는 것입니다.마크다운(Markdown)은 서식이 간단하고 알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 제공하는 기능이 다소 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피터 노트북의 코드 셀은 초기 설정이 Code 타입입니다. (.. 이전 1 ··· 4 5 6 7 8 9 다음